BlogHide Resteemssnowflower (49)in hive-102798 • 3 years ago[city 100]나라의 동물나라에 이사온지 언 4개월이 되어간다. 목조건물인 내 집은 2층집인데 일본 사람들이 왜이렇게 소곤소곤 말을 하는지 이해를 하게 되었다. 나무로 만들어진 집에서는 옆집 변기 물 내리는 소리도 가끔 들린다. 그만큼 목조건물이 방음효과가 형편없다는 것이지만 집과 집사이가 너무 가까워서 모두가 한 지붕 아래 사는 기분이 종종 들기도 한다. 나무로 만든…snowflower (49)in hive-102798 • 4 years ago[MUSIC 100]씽씽밴드 - 민요메들리, 긴난봉가, 사설난봉가즐거운 일 하나 없는 요즘, 그나마 콜드플레이의 신곡 하이어 파워의 엠비규어스 댄스영상으로 아침을 맞이하고, 스텝을 밟은 후에 출근을 하고 있었다. 보기보다 굉장히 어려운 관절의 움직임을 하나 하나 맞추던 중에, 알고리즘이 이 영상에 다다르게 해주었다. 뭐야, 미쳤네, 와, 씨, 대박, 헐,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 난다는…snowflower (49)in hive-102798 • 4 years ago[MUSIC 100] Fink - Yesterday was hard on all of us몇일동안 앓아 누웠다가, 간만에 책상에 앉아 일을 하니 뭔가 즐거우면서도 체력이 하루를 버티지 못하고 있다. 관절 마디마디가 삐걱거리고 두통약은 필통 속에 넣어두어야 안심이 된다. 백신 맞고 한국에 갈 수 있으면 보약부터 지어 먹어야 겠다. 지친 오늘 하루 휭크의 기타소리 들으며 마무리, 땡. 어제는 우리 모두에게 힘든 날이었으니까. Where do…snowflower (49)in hive-102798 • 4 years ago[MUSIC 100] Kutumba - Folk Men연구자의 길을 걷게 되면 항상 따라오는 것이 발표이다. 언제나 발표를 한다. 내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지금까지는 어떤 생각을 가져왔는지, 지금 연구가 끝나면 어떤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는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게 표현을 명확히 하고, 사진을 보여주고, 다른 이의 이론을 빌려쓴다. 올해에는 공동 연구프로젝트가 세 개나 있는데 그곳의 사람들은 나에…snowflower (49)in hive-102798 • 4 years ago[MUSIC 100] 시규어 로스 - 올슨 올슨나는 추운 곳을 좋아한다. 더운 걸 못참아하고 땀 흘리는 것을 싫어해서 운동도 싫어한다. 극한의 추위에 떨며 욕을 할 지언정 추워하는 그 감각을 좋아한다. 추우면 추울 수록 들리는 그 적막이 좋다. 추운 지역의 황량한 땅도 좋다. 그래서 노래에서 추위가 느껴져 아이슬란드 음악을 좋아한다. 요즘 점점 더워지는 날씨가 싫고, 다시 겨울이 돌아왔으면 좋겠다는…snowflower (49)in hive-102798 • 4 years ago[MUSIC 100] 토킹헤즈 - 싸이코킬러2014년 3월에, 정말 어쩌다가 퍼스에 가게 되었다. 에어아시아의 프로모션으로 왕복 50만원으로 갔던 기억이다. 저렴한 항공권때문에 가방을 맡길 수가 없어서 모든 옷을 껴입고 눈속임을 해서 오버차지도 물지 않고 댕겨왔다. 그곳에서는 눈부신 바다와 햇빛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잊을 수 없는 것은, 클럽에서 만난 할아버지와 친구가…snowflower (49)in hive-102798 • 4 years ago[자기소개]어쩌다 러너안녕하세요, 아직도 뭐가 뭔지 모르는 1인, 스노우플라워, 라고 합니다. 정식으로 자기소개하는 것도 부끄럽고, 이름이 아닌 닉네임으로 스스로를 칭하는 것도 굉장히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zenzen25님의 추천권으로 2기로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안녕하세요. 2018년 여름, 목동의 에어비앤비에서 장장 네 시간동안…snowflower (49)in stimcity • 4 years agobeautiful뷰티풀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괜스레 마음이 울컥한다. 그것이 아름다운 멜로디와 함께 들려오면 더욱 눈물샘을 자극하게 된다. 뷰티풀과 관련해서 애잔하고 울컥하는 노래가 내 인생에 딱 두개 있었다. 그랬는데 요즘 하나 더 추가 되어 세 개가 되었다. 1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뷰티풀 2번, 라나 델 라이의 영앤 뷰티풀 그리고 요즘 무한…snowflower (49)in stimcity • 4 years ago숲내가 일본에서 좋아하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숲이다. 한국에서는 잘 찾아 볼 수 없는 음침한 숲의 기운이 일본에는 있다. 산에 심어져 있는 나무만 봐도 한국과 일본의 차이가 명백하다. 일본에는 소나무가 굉장히 드물다. 일본의 숲에는 삼나무와 편백나무가 빽빽히 들어서 있어 햇빛은 잘 들어오지 않고, 계곡물은 졸졸 흘러 땅은 축축하다. 나뭇잎들 사이로…snowflower (49)in stimcity • 4 years ago누군지 모르는 사람들에 대한 공포난민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면 매년 같은 반응을 보게 된다. 난민을 다양한 각도에서 볼 수 있게 되면서 그들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난민을 단순히 "불쌍한 사람들"이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 그리는 각종 캠페인을 보며 자란 이들이기에 난민도 나름대로 삶이 있으며, 문화를 영위하고, 일을 하며 살아간다는 사실에 놀라는 학생들이 많다.…snowflower (49)in stimcity • 4 years ago우리는 무엇을 먹지 않는가 (feat. 문화인류학)먹는 것으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을 표현하거나 비하하는 말은 전세계적으로 여기저기 존재한다. 그만큼 먹는다는 행위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원초적인 행위라서 일테다. 나 역시 티베트 사람들과 이런 저런 대화를 하다 보면 한 번쯤 듣는 말이 있었다. 한국사람들은 왜 개를 먹냐, 일본에선 왜 그렇게 많은 사시미를 먹냐. 또 그 이야기인가, 싶을 때가 한 두…snowflower (49)in stimcity • 4 years ago수업준비 (feat. 문화인류학)오늘은 입학식. 캠퍼스에 깔깔거리는 귀요미들이 늘어나면서 나도 덩달아 기분이 좋아지는 나날이다. 자, 이제 착석했으니 다음주부터 시작하는 강의 준비를 해야겠다. 나는 1년동안 5수업을 강의하는데 주로 문화인류학개론과 국제교양기초론 (주로 난민관련 내용)이라는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문화인류학 수업은 매주 지구상의 의식주, 통과의례와 죽음, 가족과…snowflower (49)in stimcity • 4 years ago난민의 시간, 난민의 기다림난민의 시간은 우리들과는 다르게 흐른다. 여기에서 "우리"는 한 국가의 '국민' 혹은 "시민권자"로서의 우리이다. 나는 태어나자마자 한국 국적을 지녔고 부모님도 한국인이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지내왔고 대충 계산해보아도 일본에서 산 날이 더 많아 보인다. 이러면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을 법도 하지만 어렸을 적에 매 제삿날마다 족보를 보며 우리집안의…snowflower (49)in japan • 4 years ago1일1한숨인 요즘1990년대 후반. 일본에서 중학교를 다니면서, 나는 사회시간이 정말 싫었다.일본어가 서툰 내가 한자로만 이루어진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의 이름을 외는 것은 정말 곤욕이 아닐 수 없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곤욕이었던 것은 3.1운동과 한일합병의 역사를 배우는 것이었다. 그 시절에도 대한제국의 마지막은 고작 몇 줄로 간단하게 요약되어있었다. 사회선생님이…snowflower (49)in covid19 • 4 years ago“반갑습니다” (feat. 하늘과 땅과 바다)일년만에 타는 비행기에서 듣는 “반갑습니다”에 눈물이 터져버렸다snowflower (49)in kllo • 6 years agodissolve-multidimensional 결국, 모든것은 너무나도 복합적이다. 단순한것은 하나도 없다. 절대이해는 불가능하고, 절대소통도 불가능하다. 항상 내 관점에서의 이해이고, 맥락도 상대적이다. 그래서 디테일이 더욱 중요해진다.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늘 부족하다. 끝이 없다. 그러니 쓰고 또 쓰기를 반복할 수 밖에,,, 안녕하세요?resteemedstimcity-lits (60)in stimcity • 6 years agosteemCreated with Sketch.[어느 인류학자의 초록색 일기장] 초록색 일기장, 그 첫 장을 넘기며그녀(@snowflower)의 연구실에는 전 세계 각지에서 온 술병들이 테이블 위에 진열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어디서도 보지 못한 신기한 것들입니다. 연구실 사람들이 현지 연구에서 돌아올 때 가지고 온 로컬 술들이 많기 때문이죠. 인류학자들의 연구실이거든요. 연구실 사람 중 누군가 현지 연구를 마치고 돌아오면 어떤 술을 사왔는지 먼저 확인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