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과 함께 북한에 압력을 가하려는 시도가 실패하자 중국은 북한대표단에게 강력하게 항의했다. 마오쩌뚱은 북한대표단에게 다음과 같은 불만을 토로했다.
“조선 노동당의 행동방식에 불만이 있었는데, 예를 들면 조선에 전쟁이 시작하자 김일성에게 결코 공격을 지속해서는 안된다고 환기시켰었고, 후일 다시 적들이 후방으로 상륙할 수 있다고 경고했었다”고 말했다.
여기서 전쟁초기에 김일성에게 공격을 지속해서는 안된다고 했다는 마오쩌뚱의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회담중 펑더화이와 리커농은 조선전쟁을 누가 시작했는가 하는 문제도 따졌다.
중국이 북한을 압박한 이유는 간부문제 즉 인사문제 였다. 그들은 ‘간부문제에 있어서 적과 나를 구분하지 못했고 노선상의 잘못을 저질렀으며 당내에 공포감이 가득차있다’는 것이었다.
마오쩌뚱은 중국에 피해온 동지들이 북한으로 귀국했을 때 반드시 그들의 당적과 직위를 회복시켜야 한다는 것이었다.(436, 주207, 마오쩌뚱이 조선대표단을 접견한 회담요록, 1956년 9월 18일)
미코얀과 펑더화이가 평양에 도착해서 김일성과 두차례에 걸친 회담을 가졌다. 김일성은 원칙적으로 중국과 소련의 의견을 수용한다는 입장이었다.
9월 22일 개최된 중앙전회는 8월 회의의 문제 처리 방식이 ‘지나치게 단순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최창익과 박창옥의 지위를 원래대로 회복시키고 중국으로 도피한 당원들의 당적을 회복시킬 것에 동의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미코얀은 중국에 돌아가 임무를 완성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오쩌뚱은 “아직 문제가 끝난 것이 아니라, 이제 막 시작되었다”고 지적했다.
김일성은 소련과 중국 대표단이 출국하고나서 9월 중앙전회에서 통과된 결의안을 이행하지 않았다. 지속적으로 박해를 가했으며 다시 일부는 중국으로 도망갔다. 박일우의 석방에 관한 협의 역시 질질 끌면서 결과가 없었고, 윤공흠 등의 가족에게 식량을 제공하겠다는 약속도 이행하지 않았다. 겉으로는 따르는 척하고 실제로는 행동하지 않았다. (437, 주 208, 마오쩌뚱과 미코얀의 회담기록, 1956년 9월 23일, 조선의 정세에 관한 이바노프의 보고서, 1956년 12월 28일, ХСД, ф.5, оп. 28, д. 486, лл.1-17, 이바노프의 일기, 1956년 10월 1, 8, 26일, 11월 22일, ЦХСД. ф.5, оп.28, д.486, лл.26, 28-33, д.412, лл.344-347, д.411, лл.295-296)
이후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정치적 위기가 발생하자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유럽 문제에 신경을 쓰게 되었고 이문제는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