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택동의 지시에 따라 팽덕회는 다음과 같은 작전구상을 했다.
‘인민군 3개 군단의 협동하에 지원군 6개군을 집중하여 공격을 실시하며 적군이 38선에 구축한 방어선을 돌파하고
“임진강가 동안에서 북한강 서안간의 제1방어선에 포진한 국군 제1사단, 제6사단, 제2사단 및 제5사단의 일부를 섬멸한다.”
만약 상황이 순조롭게 전개된다면, 계속해서 기민하게 서울과 춘천, 홍천, 양양, 강릉지대를 점령한다. 그 후 재차 휴식과 재정비를 진행하면서 춘계 공세를 준비한다’는 것이었다.
팽덕회는 제3차 전역에서 한국군을 지향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정했던 것이다.
작전계획은 다름과 같다.
5개군(군단)을 주공으로 동두천, 서울방향으로 공격, 별도로 2개군이 제령리와 가평 및 춘천방향으로 각각 공격하고 인민군 2개군단은 자은리, 홍천 방향으로 공격한다.
우종대
지원군 제38, 39, 40, 50군에 포병 6개연대(25, 26, 29, 42, 45, 46)를 배속시켜 우종대를 조직
이부대를 한선초 부사령원이 지휘
고랑포리와 영평간에서 공격하되 우선 국군 6사단을 섬멸하고 다시 국군 제1사단을 섬멸한다. 성공하면 의정부 방향으로 진출
제39군
신대(샛터), 토정(토막포)간에서 임진강선을 돌파, 그 주력부대는 상성동, 오현리, 법원리 방향으로 공격, 증원하는 적에 대한 타격과 문사지역의 국군 제1사단을 견제할 준비
별도의 1개사단은 상수리, 신암리 방향으로 우회, 그 지역의 진지 점령하여 북쪽으로의 적의 지원과 남쪽으로의 도주를 저지
상기 임무 달성후 군 주력부대는 제50군과 합동으로 국군 제1사단을 포위 섬멸
제40군
아마리와 고난 간에서 임진강과 한탄천을 도하하여 동두천 방향으로 공격, 제38군 및 제39군의 1개 사단과 협조하여 국군 제6사단을 포위 섬멸한다.
제38군
누대(다락대)와 판거리(늘거리)간에서 한탄천을 도하, 우선 영평지역의 적을 섬멸, 연후에 동두천, 지행리 방향으로 공격, 제40군과 협조하여 국군 제6사단을 포위섬멸,
별도 1개사단으로 칠봉산 진지를 점령하여 북으로의 증원을 저지하며 또 다른 일부는 포천의 적을 감시한다.
제50군
모석동과 고랑포리간에 개목동 방향으로 공격, 제39군과 협조하여 적의 원군을 섬멸하거나 국군 제1사단을 공격
임민군 제1군단
주력부대는 동장리 이동에서 문산방향으로 양공을 실시, 지원군 우종대와 협조하여 국군 제1사단을 섬멸, 또 다른 일부부대는 해주지역에서 해상의 적을 경계하면서 아군 우측면의 안전을 보장
좌종대
지원군 제42, 66군이 포병 제44연대를 배속받아 좌종대를 조직
제 42 사령원이 좌종대를 지휘, 영평에서 마평리지역 사이에서 적 전선 돌파후 주력을 집중
영평과 용소동(용담리)간 국군 제2사단의 1-2개 연대를 섬멸
이후 가평, 청평리 방향으로 전과를 확장, 서울과 춘천간의 연결을 차단
다른 1개사단(1개 연대 결)은 화천에서 북한강을 도하, 춘천 북쪽으로 적극적인 양공을 실시
국군 제5사단을 견제, 좌익의 인민군 제2 및 제5군단의 남진을 지원
제42군
관음산과 배선동간에서 돌파, 주력부대는 중판리, 귀목동 방향으로 공격
국군 제2사단 제17연대를 섬멸, 청평 가평간 도로를 절단
다른 1개사단을 제영리 방향으로 우회, 제66군의 주력과 협조하여 국군 제2사단 32, 36연대를 섬멸
제66군
주력은 각각 용소동(용담리)와 마평리, 원평리 지역에서 돌파여 제영리 방향으로 공격,
제42군과 협조하여 국군 제2사단을 섬멸
다른 2개 연대는 춘천 이북에서 적극적인 양공을 실시, 국군 제5사단을 견제하여 주력부대 작전에 협조
인민군 제2, 5군단의 남진을 지원한다.
인민군 제2군단(2개 연대를 결한 4개사단) 및 제5군단의 일부(1개사단)
전역개시전에 38선을 넘어 홍천 동남지역에 은밀 침투한후 정면공격에 배합할 준비
제5군단의 주력(4개사단)과 제2군단의 일부(2개연대0
양구와 인제지역간 국군 제1, 제2군단의 접합부를 공격
이후 홍천 방향으로 전진, 춘천의 적 퇴로를 절단하고 지원군 주력과 협조, 춘천지역의 적을 포위 섬멸
인민군 해군 4개여단은 동해안 방어를 책임
제3군단은 원산을 방어, 제4군단은 서해안 방어를 담당
지원군 제9병단은 제2차 전역중 동상에 걸림 병사가 많아 함흥지역에 집결하여 계속하여 휴식 및 재정비
(제3차 전역에 제9병단이 참가하지 않았음. 만일 제9병단이 참가할 수 있었다면 제3차 전역은 매우 어려워졌을 것임. 이렇게 보면 당시 미제1해병사단의 전투가 매우 성공적으로 한반도 작전에 기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임, 의미 재평가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