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덕회의 작전지시
작전기간중 중국군은 전술면에서 영활함이 부족, 이에 다음과 같은 지시를 하달함
아군의 작전 방침은 ‘적극방어와 종심방어이다. 양호환 지형(산악, 하천)을 이용하여 계속 저항하면서 적을 지연 살상하고 시간을 벌어 후속부대가 도착하면 전역반격을 진행하도록 한다.
동시에 전역적 적극방어는 전술적 계속저항과 역습에 상호 배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적이 공격전 대규모 화력공격을 개시한다는 면을 감안하여 ‘받드시 전경후중의 원칙’을 지킬것
적이 화력우세를 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군이 적극방어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요 거점과 도로의 통제, 은폐, 분산, 및 깊은 종심 그리고 전경후중의 배치어야 한다.
화력조직은 반드시 반전차와 적보병살상이 그 두 중점이 되어야 한다.
“마땅히 보병화기를 전방제대에 배속하여 전연화력을 강화한다
(1951년 3월 10일 연합사하달지시, “전술지시”, 121)
팽덕회의 작전구상
3월 9일, 병력을 아끼고, 사상을 줄이며, 계속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제1제대의 각군은 3월 10일부터 예정된 계획에 따라 북으로 철수시킬 것을 결정
제1제대는 3월 10일부터 현방어선에서 4 내지 5일기간 고양, 의정부 및 풍암리를 연하는 선까지 철수하면서 적을 지연
이 선에서 제2제대의 각군과 교체
이 선부터, 제2제대는 38선 이북지역까지 운동방어(지연작전)을 실시
제2단계 작전계획
인민군 제19사단은 인민군 제1군단의 임무를 인수
제1군단 주력은 개성, 연안지구로 이동 휴식 정비
지원군 제26군은 제50군을, 제39군은 제66군의 임무를 인수
제50, 66군은 귀국하여 보충정비
제40군은 제42군의 방어임무를 인수,
제38, 42군은 각각 숙천과 원산 서쪽지구로. 이동 보충정비
인민군 제3군단 주력, 현리, 인제지구로 이동하여 종심진지에 배치
제2, 5군단은 현진지에서 운동방어를 취하면서 점차 북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