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Hide Resteemsdudu1277 (25)in hive-196917 • 4 years ago1929: 서호(西湖)에서의 결전1929: 서호(西湖)에서의 결전 민국무림(民国武林)을 해부하다. 1929:决战西湖——解密民国武林,还原“一代宗师” 왕가위 감독의 10년 역작 가 다시금 국민들 마음속의 무림정서에 불을 붙였다. 왕가위 감독은 스스로, 그가 말하고자하는 바는 결코 단순한 상쾌한 복수(快意恩仇)의 무협 이야기가 아니며, 표현하려는 바는 민국무림(民国武林)이라고…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1929: 서호(西湖)에서의 결전 (3)남권, 북퇴에게 밀리다 11월 21일 비무 첫째 날, 항저우 관중들의 열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미디어 보도에 따르면 이날 경기장을 찾은 관중은 6만 여명에 달했다. 대회 에 실린 바에 따르면, 첫째 날 비무 신청자는 128명이었다. 대회는 11시에 개막할 예정이었지만, 당시에는 시간관념이 별로 없어서 11시가 되어도 나오지 않는 선수가 많았다.…dudu1277 (25)in wuxoa • 4 years ago1929: 서호(西湖)에서의 결전 (2)준비기간은 한 달 기간으로 보자면 절강성 국술여유대회는 준비기간이 불과 한 달이었다. 이렇게 짧은 시간에 대규모 전국국술대회를 여는 건 준비위원회에게 있어 실로 작지 않은 도전이었다. (이하 )에 따르면 준비위원회는 회의부와 집행부로 나누어져 있었다. 집행부 이하에는 총무, 비서, 교제, 장무(场务)의 4개 처가 있었다. 총무처는 재무를…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1929: 서호(西湖)에서의 결전 (1)1929: 서호(西湖)에서의 결전 민국무림(民国武林)을 해부하다. 1929:决战西湖——解密民国武林,还原“一代宗师” 왕가위 감독의 10년 역작 가 다시금 국민들 마음속의 무림정서에 불을 붙였다. 왕가위 감독은 스스로, 그가 말하고자하는 바는 결코 단순한 상쾌한 복수(快意恩仇)의 무협 이야기가 아니며, 표현하려는 바는 민국무림(民国武林)이라고…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남소림무술과 현대항일투쟁 下19로군 항일대도대와 남소림무술 피눈물로 쓰인 항전사에 있어, 본국 국술의 가치를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며 중화무술의 효용을 드러낸 사적은, 당연히 항일대도대에 관한 것이다. 걔 중에서는 특히 19로군 항일대도대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그들의 칼날은 적으로 하여금 간담이 서늘하게 하였으니, 그에 대해 웅장한 작품이 나오기도 했다. 여기서…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남소림무술과 현대항일투쟁 上남소림무술과 현대항일투쟁(南少林武术与现代抗日斗争) 궈쉐송(郭学松) 이전 세기 30년대에 있어 일본제국주의 침략전쟁은 중국인민에게 극히 큰 상처를 주었다. 인간성을 멸절시키는 그 폭력에 중국인민은 격렬하게 저항했고, 특히 “국술(国术)”을 수련하는 이들은 무술을 그 기초 삼아 각종 무기를 들고 적과 목숨을 걸고 싸웠다. 항일전쟁시기 국수무술은…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중국의 항일대도를 논하다 (论中国之抗日大刀)중국의 항일대도를 논하다 (论中国之抗日大刀) 겅샤오웨이(耿绍玮),류딩이(刘定一) 근대중국의 항일전쟁은 1931년 9월 18일 시작되어 1945년 8월 15일 종결되었다. 수많은 전투 중 자오덩위(赵登禹) 장군은 1933년 3월 11일 심야에 일본군을 급습하였고, 항일전쟁 사상 첫 승전을 이끌어냈었다.[1] 항일대도(抗日大刀)는 이 전투로 인해…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비국가적 주체(Stateless Subject)' 2장 요약&정리 1비국가적 주체(Stateless Subject) 2장 요약&정리 1 Women and Martial Arts Couching Tiger, Hidden Dragon’s Marital, Martial, and Marxian Problems -기존의 페미니즘 비평은 무협소설을 가부장제의 표현으로 보았다. 허나 안리 감독의…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를 써내려가기 : Martial Arts Studies 제 2장 요약&해설 (下)무술연구 제2장 해설 (下) 1. 태극권의 민족주의 무술과 민족주의의 관계를 논함에 있어, Frank는 이렇게 주장했다. “태극권은 중화 민족주의의 대표적 상징이다.” (2006, 186p) 허나 이런 주장에 대해 많은 이들은, 태극권이 중국의 근대민족국가보다 먼저 존재했는데, 어떻게 태극권이 민족주의의 상징일 수 있는지 묻는다. 다시…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를 써내려가기 : Martial Arts Studies 제 2장 요약&해설 (上)무술 연구 제 2장 해설 (上) 0. 신체 쓰기의 문제 신체(the body)라는 살아있는 감각적인 경험을 학술적으로 써나가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스피박이 신체를 통해 드러나는 ‘실천’에 대해 나름대로 “개념-은유(concept-metaphors)”를 제시하긴 했다. 신체를 통해 드러나는 실천이, 담론에 든 개념을 은유한다고…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 제2장 요약 (下) : 신체, 역사, (초)민족, 그리고 서사무술연구 제2장 요약 (下) : 신체, 역사, (초)민족, 그리고 서사 인간을 가리다(eclipsing) 내가 어렸을 때, 일식에 대한 TV 프로그램에서 한 물건을 보았다. 그 물건은 제트기 위에서 일식을 ‘쫓으러’ 갔는데, 최대한 오래 일식을 촬영하기 위함이었다. 이렇게 촬영을 해두면 그냥 관찰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보아낼 수…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평강의 불초한 서생> 제 2장 요약 (上) -샹카이란의 원숭이: 문학장르로서의 소설-제 2장 요약 (上) -샹카이란의 원숭이: 문학장르로서의 소설- 전문적으로 쓰는 것, 그리고 원앙호접파(鴛鴦胡蝶派) 샹카이란은 스스로 작가의 위치를 어떻게 여겼으며, 자신의 작품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이해했는가? 그가 소설(小說)에 대해 가진 인식은 어떻게 그의 작품생활을 규정했는가? 이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 바오톈샤오가 샹카이란의…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 제2장 요약 (中) : 신체, 역사, (초)민족, 그리고 서사무술연구 제2장 요약 (中) : 신체, 역사, (초)민족, 그리고 서사 무술, 내셔널리즘, 트랜스내셔널리즘 앞서 보았듯이 역사, 이데올로기, 정체성의 문제에 있어, 민족(nation)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부분에서는 그 민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논하되, 일반적인 논의와는 다소 다른 방식을 추구하고자 한다. 페트러스…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평강의 불초한 서생> 제 1장 요약 (下) -작가의 삶-제 1장 요약 (下) -작가의 삶- 1924년 근대협의영웅전은 탐정세계가 발간 중지됨에 따라 함께 중단되었다. 허나 강호기협전은 계속되었고, 유동신사를 이은 옥결금환록(玉玦金環錄)도 신원보에서 이어졌다. 이 와중에 대략 20여편의 단편이 홍잡지와 그 후신인 홍매괴에서 연재되었다.…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평강의 불초한 서생> 제 1장 요약 (上) -작가의 삶-제 1장 요약 (上) -작가의 삶- #무협 #무술 샹카이란(向愷然). 아호는 타이지에(泰階), 이름은 쿠이(逵), 자(字)는 카이위안(愷元)이다. 그는 광서 시절 1890년 6월에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호남성 평강(平江)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하남성의 수도인 장샤의 동북쪽으로 80여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곳이었다. 허나 샹카이란은…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 제2장 요약 (上) : 신체, 역사, (초)민족, 그리고 서사무술연구 제2장 요약 (上) : 신체, 역사, (초)민족, 그리고 서사 신체를 써내려가기 Wacquant는 신체(the body)를 써나감에 있어 우리 자신의 글쓰기 방법을 점검해야만 한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신체에 대해 제대로 쓰기 어렵다는 점은 여러 학문 영역(field)에서도 지적되는 바이다. 문제의 핵심은 살아있는 감각적 경험을…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를 설립하기 : Martial Arts Studies 제1장 요약&해설무술연구를 설립하기 : Martial Arts Studies 제1장 요약&해설 기획 소개 & 의도 저자 폴 바우만(Paul Bowman)은 비평적인 관점으로 무술을 연구하기 위해 무술연구(Martial Arts Studies)를 제안했다. 무술 연구가 지금까지 없어왔던 것은 아니다. 역사학, 인류학, 스포츠연구, 심지어는…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 제1장 요약 (下) : 학문 영역으로서의 무술 연구무술연구 제1장 요약 (下) : 학문 영역으로서의 무술 연구 #무협 #무술 어떤 이론이어야 하는가? 저자(폴 바우만)는 무술연구에 있어 탈구조주의(poststructuralism)가 이론적으로 생산적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탈구조주의는 자크 데리다가 말했듯, “텍스트의 밖에는 아무 것도 없다”로 요약될 수 있다. 인간이 현실을…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평강불초생, <강호이인전> 서문#무협 설자(楔子) 이 소설을 쓰는데 들어간 자료의 10분의 2는 내가 직접 본 것이다. 나머지 8할은 성실하여 믿을만한 친구에게서 얻은 것인데, 지금 그 이야기들을 자세히 쓰고자 한다. 관원(官們)들의 관점에서 이 소설은, 무용지물일 뿐인 당나라의 신괴한 글들 마냥 “되는 대로 말하고, 되는대로 듣는(姑妄言之,姑妄聽之)” 대단찮은 것으로…dudu1277 (25)in wuxia • 4 years ago<무술연구> 제1장 요약 (中) : 학문 영역으로서의 무술 연구무술연구 제 1장 요약 중 : 학문 영역으로서의 무술 연구 #무협 #무술 번역불가? 연구의 주제와 대상 연구 주제(subject)는 “연구 대상에 접근하는 방식” (혹은 학술적 장(academic field))을 의미하며, 연구 대상(object)은 간단하게 “연구되는 것”이다. 고로, “학술적 주제는 대상을 연구한다.” 하지만…